이느 결초보은 뜻과 유래

결초보은 뜻과 유래

결초보은(結草報恩)은 풀을 묶어 은혜를 갚는다는 말로, 죽어서도 은혜를 잊지 않는다는 뜻이다. 유사한 사자성어에 죽어서 백골이 되어도 잊지 않겠다는 백골난망(白骨難忘)과 은혜를 뼈에 새겨 잊지 않겠다는 각골난망(刻骨難忘)이 있다.

 

결초보은의 유래는 다음과 같다.

중국 고대 춘추전국시대 진나라에 위무자라는 사람에게 젊은 첩이 있었다. 본처는 죽고 없었는데 본처가 살아있었을 때는 본처와 첩의 사이가 매우 좋았다고 한다.

 

위무자가 늙어 병이 들자 아들 위과를 불러 유언했다.

"내가 죽게 되면 네 서모를 좋은 곳으로 개가 시키도록 해라."

아들 위과는 잘 따르겠다고 대답했다.

 

위무자는 병이 더 깊어져서 곧 죽게 되었다. 위무자는 또 아들을 불러 분부했다.

"내가 죽거들랑 네 서모를 나와 같이 순장시키도록 해라."

당시 진나라에는 남편이 죽으면 부인도 함께 묻는 순장의 풍습이 있었다고 한다.

 

 

위무자가 죽자 아들은 곰곰이 생각했다. 왜냐하면 아버지가 처음 분부를 내렸을 때는 서모를 개가 시키라고 했는데, 돌아가시게 되자 이제는 순장을 시키라고 해서 어떤 말을 따르는 것이 옳은 일인지 생각해본 것이다. 그리고 생각하기를 정신이 맑을 때 하신 말씀이 아버님의 진심이라고 생각하고 서모를 좋은 데로 개가 시켜드렸다.

 

그 일이 있은 수 전쟁이 일어나 외과는 장수가 되어 출정했다. 적군의 장수는 두희라는 막강한 자였다. 전쟁이 일어나기 전에 위과는 주위을 살폈다. 그런데 어떤 노인이 적진 앞에서 풀을 묶고 있었다. 위과는 그 일을 별로 대수롭지 않게 생각했다.

 

그런데 전쟁이 벌어졌을 때 적의 군사들이 말을 타고 달려오다가 말의 발이 풀에 걸려 넘어지는 것이었다. 그로 인해 두희도 말에서 떨어졌고 위과는 적의 장수를  사로잡아 쉽게 전쟁에 승리할 수 있었다.

 

그날 밤 전에 풀을 묶던 노인이 꿈에 나타나서 말하기를,

"나는 당신이 개가 시켜준 당신 서모의 아버지라오. 당신이 아버님의 유언을 옳게 따라준 덕분에 내 딸이 죽지 않고 잘 살고 있소. 내가 살아 있을 때 그 은혜를 갚고자 했지만 갚지 못했는데 이제 편히 눈을 감을 수 있겠소."

 

이에 결초보은(結草報恩)이라는 사자성어가 유래되었다고 한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